Ticker

6/recent/ticker-posts

Advertisement

파워서플라이 선택하는 방법은?

파워서플라이는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한전에서 들어오는 전원을 컴퓨터로 바로 집어넣게 되면 버틸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파워서플라이를 거쳐서 컴퓨터에 적합한 전원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야하면서 컴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파워서플라이라고 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 용량은 많아야 할까 적어야 할까?


파워서플라이의 용량은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고 본다. 현재 다양한 용량이 있지만 그래픽카드를 좋은 것 (2060 이상) 이 아닌 이상 굳이 600W이상으로 구매할 필요 없다. 하지만 차후에 업그레이드를 염두하고 있다면 파워서플라이는 무조건 용량이 큰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용량만 많으면 좋은가, 제조사도 좋아야지!


그렇다 사람도 이면을 봐야 정확함을 알 수 있듯, 파워서플라이 역시 이면을 봐야한다. 무조건 용량이 큰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제조사를 봐야 한다. 필자가 추천하는 제조사는 AS가 무진장 잘 되고 신뢰도가 높은 마이크로닉스 제품(#링크)이다. 대부분의 베스트 셀러는 다나와의 가장 맨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인기순으로 정렬해서 그렇다. 대부분 중개유통 형태를 띄고 있는 컴퓨터 시장에서 조작이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는 이 정보가 믿을만하다고 생각한다. 





풀모듈러와 스탠다드?


파워서플라이를 선정할때의 기준 중 편의성은 고려되지 않는 것이 일반이다. 그 이유는 편의성을 고려할만큼 디테일한 디바이스는 아니기 때문이다. 언제부터인가 풀 모듈러 (Full Moduler)라는 제품이 등장하게 되면서 기존의 하드는 스탠다드(Standard) 라는 영역으로 변경이 되었다. 

풀모듈러라고 하는 것은 바로 자신이 파워에 연결하고 싶은 선만 연결하는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그래서인지 선 정리가 아주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파워서플라이의 최대 단점은 전력선이 다발로 되어 있다는 점인데 풀모듈러는 선정리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보면 된다. 




살펴보기

컴퓨터 견적과 조립 전체목록 이동

PC견적 [SSD+HDD편으로 이동]

▶PC견적 [그래픽 카드편으로 이동]



댓글 쓰기

0 댓글